청약가점제도 계산법, 기준, 당첨 전략까지 총정리! 빠르게 이해하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 확인하세요.
청약가점제도란?
청약가점제도는 국민주택과 일부 민영주택의 청약 당첨자를 선정할 때 사용하는 점수 기반 제도입니다. 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 기간을 종합해 최대 84점 만점으로 산정됩니다. 가점이 높을수록 당첨 확률이 높아지며, 실수요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.
가점제 적용 대상
- 공공분양 (국민주택)
- 민간분양 중 전용면적 85㎡ 이하 (일부 지역 제외)
- 투기과열지구 및 청약과열지역은 가점제 우선 적용
가점제 산정 기준
가점은 다음 세 가지 항목의 합산으로 계산됩니다.
항목 | 내용 | 최대 점수 |
---|---|---|
무주택 기간 | 1년 이상 무주택 시 매년 2점씩 부여 (최대 15년 → 32점) |
32점 |
부양가족 수 | 본인 외 주민등록상 가족 수 (1명당 5점, 최대 6명 → 35점) |
35점 |
청약통장 가입기간 | 가입 후 매년 1점, 15년 이상이면 17점 | 17점 |
총합: 최대 84점
출처 : 청약홈 홈페이지
청약가점 계산 예시
예시1 - 1인가구 직장인
- 무주택 5년 → 10점
- 부양가족 0명 → 0점
- 청약통장 6년 → 6점
- 총 가점: 16점
예시2 - 4인 가족 가장
- 무주택 10년 → 20점
- 부양가족 3명 → 15점
- 청약통장 10년 → 10점
- 총 가점: 45점
가점제 유리한 조건은?
-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
- 부양가족이 많을수록
- 청약통장을 오래 유지했을수록
※ 만 30세 이전의 무주택 기간은 인정되지 않으므로, 가점에 반영되지 않습니다.
당첨 커트라인은?
지역과 단지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,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서울·수도권 인기지역: 평균 60점 이상
- 지방 중소도시: 30~40점 선
- 신혼희망타운 등 특별공급: 20점대 당첨도 가능
청약가점 전략
- 부양가족 등록 상태 유지 (전입신고 중요)
- 청약통장 자동이체로 장기 가입 유지
- 무주택 상태 유지하며 기간 늘리기
- 특별공급도 병행해서 기회 확대
자주 묻는 질문
Q. 가점이 낮으면 절대 당첨 안 되나요?
A. 아닙니다. 추첨제가 병행되는 단지는 가점이 낮아도 당첨 가능성이 있습니다.
Q. 무주택 기간 계산은 언제부터인가요?
A. 만 30세 이후 또는 혼인신고일 이후부터 계산합니다.
Q. 부양가족은 누구까지 인정되나요?
A. 세대원 중 3개월 이상 주민등록이 동일하고 생계를 같이하는 직계존비속 및 형제자매까지 가능합니다.
마무리
청약가점제도는 주택청약 당첨의 핵심 기준 중 하나입니다. 점수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잘 세우고, 스스로의 가점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 버튼을 눌러 내 가점을 계산해보고 현실적인 당첨 전략을 세워보세요!
Tags:
house